연구개 비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구개 비음은 혀의 뒷부분을 연구개에 닿게 하여 코로 공기를 내보내 발음하는 자음으로, 유성음이며 폐기류 기전을 통해 소리가 생성된다. 한국어에서는 받침 'ㅇ'으로 표기되며, 영어, 독일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도 나타난다. 많은 언어에서 /n/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특정 환경에서 /n/이 [ŋ]으로 발음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강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연구개 비음 | |
---|---|
'음성학 정보' | |
국제 음성 기호 | ŋ |
십진수 | '331' |
이미지 파일 | Velar nasal (vector).svg |
X-SAMPA | N |
브라유 | '1246' |
명칭 | |
그리스어 | ἆγμα |
그리스어 번역 | âgma |
발음 | |
영어 발음 기호 | /ŋ/ |
예시 | '/m/, /n/, /ŋ/' |
특징 | |
조음 위치 | '연구개음' |
조음 방법 | 비음 |
성대 진동 | 유성음 |
수반되는 자음 | '/p, t, k/' |
음소 대립 | |
음소 대립의 예 | '/n/ vs /ŋ/' |
영어 예시 | '/ˈɪnˌkʌm/ ˈɪŋˌkʌm' |
음소 대립 관련 설명 | '일부 영어 방언에서는 /n/ 다음에 /k, ɡ/가 올 때 /ŋ/으로 발음함' |
다른 표현 | |
로마자 표기 | 'ŋ' |
정보 번호 | '119' |
음성 기호 코드 | '331' |
일본어 코드 | 1-10-90 |
키르셴바움 | N |
음성 파일 | Velar nasal.ogg |
2. 특징
연구개 비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기류의 발생은 폐기류기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 발성 시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다.
- 혀의 뒷부분(후설)을 연구개에 닿게 하여 조음하는 연구개음이다.
-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혀의 중앙 부분을 통해 공기가 흐르는 중앙 조음이다.
- * 입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비음이다.
- *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2. 1. 조음 방법
연구개 비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기류의 발생은 폐기류기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 발성 시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다.
- 혀의 뒷부분(후설)을 연구개에 닿게 하여 조음하는 연구개음이다.
-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혀의 중앙 부분을 통해 공기가 흐르는 중앙 조음이다.
- * 입안의 통로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비음이다.
- *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3. 발음의 예
유성 연구개 비음은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는 자음이다.
언어 | 문자 | 단어 | IPA | 의미 | 참고 |
---|---|---|---|---|---|
한국어 | 받침 ㅇ(뒤에 /i, j/가 오지 않을 때만) | 성에한국어 / | '서리' | 한국어 음운론 참조 | |
영어 | ng(음절 말에서만) | '노래하다' | 음절 종지에만 제한됨. 영어 음운론 참조 | ||
독일어 | ng(형태소 경계에 있을 때는 제외) | langde | '긴' |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 |
네덜란드어 | ng | angstnl | '두려움' |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 |
베트남어 | ngh·ng(첫소리), ng(끝소리, u, ô, o 뒤는 제외) | ||||
스와힐리어 | ng' | ng'ombe | '소' | ||
피지어 | g | gonefj | '아이' | ||
태국어 | ง | งู | '뱀' | ||
중국어 | 병음 ng | /Běijīng | '베이징' | 음절 종지에만 제한됨. 표준 중국어 음운론 참조 | |
광둥어 | 昂/ | '올리다' | 광둥어 음운론 참조 |
이 외에도 알바니아어, 알류트어, 아랍어, 아르메니아어, 아삼어, 아스투리아스어, 밤바라어, 바시키르어, 바스크어, 벵골어, 불가리아어[4], 카탈루냐어, 세부아노어, 차모로어, 추크치어, 체코어, 딩카어, 덴마크어, 동방 민어, 페로어, 핀란드어, 프랑스어, 갈리시아어, 간어, 그리스어, 객가어, 히브리어, 힐리게이논어, 힌디어-우르두어, 호어, 헝가리어, 아이슬란드어, 일로카노어, 이누크티투트어, 이누비알루크툰어, 아일랜드어, 이탈리아어, 이텔멘어, 일본어, 자바어, 진어, 카가야넨어, 카렐리어어[5],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켓어, 카시어, 크메르어, 쿠르드어, 루간다어, 룩셈부르크어, 마케도니아어, 말레이어, 말라얄람어, 마라티어, 마리어, 미낭카바우어, 몽골어, 네팔어, 응가나산어, 니브흐어, 북프리지아어, 북방 민어, 북사미어, 노르웨이어, 오디아어, 오키나와어, 오스만 튀르크어, 펀자브어, 페르시아어, 피필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오크어, 라파누이어, 루마니아어, 사모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6], 세리어, 쇼나어, 슬로베니아어, 남방 민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아이티어, 말레이어, 아프리칸스어, 우즈베크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야칸어, 룩셈부르크어, 쇼나어, 타갈로그어, 마오리어, 소토어, 웨일스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로마자 전사), 오리야어, 아삼어, 신드어, 밤바라어, 크메르어, 이누크티투트어, 표준 중국어, 간어의 창두 방언, 하카어, 광둥어, 차오저우어, 푸셴어 등 많은 언어에서 유성 연구개 비음이 나타난다.
4. 한국어에서의 특징
한국어에서 유성 연구개 비음은 받침 'ㅇ'으로 표기되며,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나타난다.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받침 'ㅇ'은 유성 연구개 비음 [ŋ]으로 발음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어두에 유성 연구개 비음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 잉어, 앳되다) 과거 한국어에서는 어두에도 유성 연구개 비음이 존재했으나, 현대 한국어에서는 대부분 사라졌다.
한국어에서 연구개 비음([ŋ])은 'ㄱ', 'ㄲ', 'ㅋ'와 같은 연구개음 앞의 비음(ㄴ)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건강'은 /kʌŋɡaŋ/으로 발음된다. 또한, 어중의 'ㄲ' 뒤에 비읍 덧소리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유성 연구개 마찰음(ɣ)으로 변화하여 현재는 사라지는 추세에 있다.
5. 다양한 언어에서의 변이음
많은 언어에서 유성 연구개 비음은 /n/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즉, /n/이 특정 환경에서 [ŋ]으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영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등에서는 /n/이 연구개 파열음 /k/, /ɡ/ 앞에서 [ŋ]으로 발음된다. 일본어에서는 /n/이 /k/, /ɡ/ 앞에서 [ŋ]으로 발음될 수 있다.
- 한국어 받침 ㅇ(뒤에 /i, j/가 오지 않을 때만)
- 영어 ng(음절 말에서만)
- 독일어 ng(형태소 경계에 있을 때는 제외)
- 네덜란드어, 아이티어, 말레이어, 아프리칸스어, 우즈베크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야칸어, 룩셈부르크어, 쇼나어, 타갈로그어, 마오리어, 소토어, 웨일스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로마자 전사) ng
- 베트남어 ngh·ng(첫소리), ng(끝소리, 'u, ô, o' 뒤는 제외)
- 스와힐리어, 코사어 ng'
- 피지어, 사모아어, 라파누이어 g
- 오리야어 ଙ
- 태국어 ง
- 아삼어 ঙ, ং
- 신드어 ڱ
- 밤바라어 ŋ
- 크메르어 ង, ្ង
- 이누크티투트어 ᙰ, ᖏ, ᖐ, ᖑ, ᖒ, ᖓ, ᖔ, ᖕ, ᙱ, ᙲ, ᙳ, ᙴ, ᙵ, ᙶ, ᖖ
- 표준 중국어, 간어의 창두 방언, 하카어, 광둥어, 차오저우어, 푸셴어 병음 ng
- 알바니아어에서 'n'gaqë'(/ŋɡacə/)는 '왜냐하면'이라는 뜻으로, '''n'''gaqë으로 표기된다.
- 알류트어에서 'chaa'''ng'''(ча̄'''ӈ''')'(/tʃɑːŋ/)는 '다섯'을 의미한다.
- 아랍어의 헤자즈 아랍어에서 'مـ'''ـنـ'''ـقل(mi''n''gal)'(/mɪŋɡal/)는 '화로'를 뜻하며, 연구개 비음은 경구개 파열음 앞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 아르메니아어의 동아르메니아어에서 'ը'''ն'''կեր(ë'''n'''ker)'(/əŋˈkɛɾ/)는 '친구'를 의미하며, 연구개 비음은 연구개 자음 앞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 아삼어에서 'ŗô'''ng'''(ৰং)'(/ɹɔŋ/)은 '색깔'을 뜻한다.
- 아스투리아스어에서 'non'(/nõŋ/)은 '아니오'를 의미하며, 연구개 비음은 단어 끝 위치에서 연구개 파열음 이외의 자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 또는 잠시 멈추는 경우 /n/의 동소이음이다.
- 밤바라어에서 '''ŋ'''oni(/ŋoni/)는 '기타'를 의미한다.
- 바시키르어에서 'ме'''ң'''(me'''ñ''')'(/mɪ̞ŋ/)은 '천'을 뜻한다.
- 바스크어에서 'ha'''n'''ka'(/haŋka/)는 '다리'를 의미한다.
- 벵골어에서 'র'''ঙ'''(rông)'(/ɾɔŋ/)은 '색깔'을 뜻한다.
- 불가리아어에서 'тъ'''н'''ко(tă'''n'''ko)'(/ˈtɤŋko/)는 '얇은'을 의미한다.
- 광둥어에서 '昂'(/ŋɔːŋ˩/)은 '올리다'를 뜻하며, 광둥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카탈루냐어에서 'sa'''ng'''(/ˈsɑ̃ŋ(k)/)는 '피'를 의미하며, 카탈루냐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세부아노어에서 '''ng'''ano(/ˈŋano/)는 '왜'를 뜻한다.
- 차모로어에서 '''ng'''å'''ng'''a'(/ŋɑŋaʔ/)는 '오리'를 뜻한다.
- 추크치어에서 '''ӈ'''ыроӄ('''ṇ'''yroq)'(/ŋəɹoq/)는 '셋'을 뜻한다.
- 체코어에서 'ta'''n'''k'(/taŋk/)는 '탱크'를 뜻하며, 체코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딩카어에서 '''ŋ'''a(/ŋa/)는 '누구'를 뜻한다.
- 덴마크어에서 'sa'''ng'''(/sɑŋˀ/)는 '노래'를 뜻하며, 덴마크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네덜란드어에서 'a'''ng'''st'(/ɑŋst/)는 '두려움'을 뜻하며, 네덜란드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동방 민어에서'疑'(/ŋi53/)는 '의심하다'를 뜻한다.
- 영어에서 'si'''ng'''(/sɪŋ/)은 '노래하다'를 뜻하며, 음절 종지에만 제한된다. 영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페로어에서 'o'''n'''g'(/ɔŋk/)는 '초원'을 뜻한다.
- 피지어에서 '''g'''one(/ˈŋone/)는 '아이'를 뜻한다.
- 핀란드어에서 'ka'''ng'''as'(/ˈkɑŋːɑs/)는 '천'을 뜻하며, 고유어에서만 자음 사이(장음으로)와 /k/ 앞에 나타난다. 핀란드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프랑스어 표준어에서 'campi'''ng'''(/kɑ̃piŋ(ɡ)/)은 '캠핑'을 뜻하며, 영어 또는 중국어에서 차용된 단어에만 나타난다. 프랑스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남부 프랑스어에서 'pai'''n'''(/pɛŋ/)은 '빵'을 뜻하며, 많은 화자에게 [ŋ]은 앞선 모음의 비음화를 대체하는 역할을 하며, 부분적으로 비음화가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는 오크어 기층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어 방언의 가장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 갈리시아어에서 'u'''nh'''a'(/ˈuŋa/)는 '하나'(여성)를 뜻한다.
- 간어에서 '牙'(/ŋa/)는 '이빨'을 뜻한다.
- 독일어에서 'la'''ng'''(/laŋ/)은 '긴'을 뜻하며, 표준 독일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그리스어에서 'ά'''γ'''χος'(/['aŋxo̞s]/)는 '강조'를 뜻하며, 현대 그리스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객가어의 석현 방언에서 '我'(/ŋai˨˦/)는 '나'를 뜻한다.
- 히브리어 표준어에서 'א'''נ'''גלית(anglit)'(/aŋɡˈlit/)는 '영어'를 뜻하며, 연구개 파열음 앞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세파르디 히브리어에서 'עין(nayin)'(/ŋaˈjin/)은 '아인'을 뜻하며, 세파르디 히브리어를 참조한다.
- 힐리게이논어에서 'bua'''ng'''(/bu'äŋ/)은 '미친/정신적으로 불안정한'을 뜻한다.
- 힌디어-우르두어에서 'रंग/रङ्ग(ra'''ṅ'''g)'(/rəŋg/), 'رن٘گ(ra'''ṅ'''g)'(/rəŋg/), 'Rang'(/rəŋg/)은 모두 '색깔'을 뜻하며, 힌디어-우르두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호어에서 'mara'''ṅ'''(/maraŋ/)은 '큰'을 뜻한다.
- 헝가리어에서 'i'''n'''g'(/iŋɡ/)는 '셔츠'를 뜻하며, /n/의 동소이음이다. 헝가리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아이슬란드어에서 'gö'''n'''g'(/ˈkœy̯ŋk/)는 '터널'을 뜻하며, 아이슬란드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일로카노어에서 '''ng'''al'''ng'''al(/ŋalŋal/)은 '씹다'를 뜻한다.
- 이누크티투트어에서 'ᐴ'''ᙳ'''ᐆᖅ(puu'''nng'''uuq)'(/puːŋŋuːq/)는 '개'를 뜻한다.
- 이누비알루크툰어에서 'qam'''ng'''uiyuaq'(/qamŋuijuaq/)는 '코골다'를 뜻한다.
- 아일랜드어에서 'a '''ng'''lór'(/ˌə̃ ˈŋl̪ˠoːɾˠ/)는 '그들의 목소리'를 뜻하며, 자음 변화 음절 음절화의 결과로 단어 앞에 나타난다. 아일랜드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이탈리아어에서 'a'''n'''che'(/ˈaŋke/)는 '또한'을 뜻하며, /k/와 /ɡ/ 앞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이탈리아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이텔멘어에서 'қни'''ң'''(/qniŋ/)은 '하나'를 뜻한다.
- 일본어 표준어에서 '南極(na'''n'''kyoku)'(/naŋkʲokɯ/)는 '남극'을 뜻한다. 동부 방언에서 '鍵(ka'''g'''i)'(/kaŋi/)는 '열쇠'를 뜻한다. 일본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자바어에서 'sengak'(/səŋak/)는 '악취'를 뜻하며, /ŋ/ 뒤에 오는 모음 때문에 추가적인 /ŋ/이 발생한다.
- 진어 유취 방언에서'我'(/ŋie/)는 '나'를 뜻한다.
- 카가야넨어에서 'mana'''ng'''(/manaŋ/)은 '언니'를 뜻한다.
- 카렐리어어에서 'o'''ng'''i'(/ˈoŋɡi/)는 '낚싯대'를 뜻하며, /g/, /k/, /kk/ 앞에만 나타난다.
- 카자흐어에서 'мы'''ң'''(my'''ń''')'(/məŋ/)과 키르기스어에서 'ми'''ң'''(miñ)'(/miŋ/)은 모두 '천'을 뜻한다.
- 켓어에서 'ая'''ң'''(ajaņ)'(/ajaŋ/)은 '저주하다'를 뜻한다.
- 카시어에서 '''ng'''ap(/ŋap/)은 '꿀'을 뜻한다.
- 크메르어에서 'ងាយ'(/ŋiəj/)는 '쉬운', 'កសាង'(/kɑːsaːŋ/)은 '짓다'를 뜻한다. 크메르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한국어에서 '성에(seo'''ng'''e)'(/sʌŋe/)는 '서리'를 뜻한다. 한국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쿠르드어의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에서 모두 'ce'''ng'''/جه'''نگ'''(ce'''ng''')'(/dʒɛŋ/)은 '전쟁'을 뜻한다. 쿠르드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루간다어에서 '''ŋ'''aa'''ŋ'''a(/ŋɑːŋɑ/)는 '코뿔새'를 뜻한다.
- 룩셈부르크어에서 'ke'''ng'''(/kʰæŋ/)은 '아무도'를 뜻한다. 룩셈부르크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마케도니아어에서 'a'''нг'''лиски(angliski)'(/ˈaŋɡliski/)는 '영어'를 뜻하며, /k/와 /ɡ/ 앞에서 /n/의 동소이음으로 가끔 나타난다. 마케도니아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말레이어의 말레이시아 말레이어 및 인도네시아어에서 'ba'''ng'''un'(/ˈbaŋʊn/)은 '일어나다'를 뜻한다.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에서 'sini'(/si.niŋ/)는 '여기', 트렝가누 말레이어에서 'ayam'(/a.jaŋ/)은 '닭'을 뜻한다.
- 말라얄람어에서 'മാ'''ങ്ങ'''(mān̄n̄a)'(/maːŋŋɐ/)는 '망고'를 뜻한다.
- 표준 중국어에서 '北京(Běijī'''ng''')'(/peɪ˨˩tɕiŋ˥/)은 '베이징'을 뜻하며, 음절 종지에만 제한된다. 표준 중국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쓰촨어에서 '我'(/ŋɔ˨˩/)는 '나'를 뜻한다.
- 마라티어에서 'रंग(ranga)'(/rəŋə/)는 '색깔'을 뜻한다. 마라티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마리어에서 'е'''ҥ'''(eng)'(/jeŋ/)은 '인간'을 뜻한다.
- 미낭카바우어에서 'ma'''ng'''arasau'(/mäŋäräsäu̯/)는 '허튼소리'를 뜻한다.
- 몽골어에서 'тэ'''н'''гэр(te'''ŋ'''ger)'(/teŋger/)는 '하늘'을 뜻한다.
- 네팔어에서 'न'''ङ'''(nang)'(/nʌŋ/)은 '못'을 뜻한다. 네팔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응가나산어에서 '''ӈ'''а'''ӈ'''(ngang)'(/ŋaŋ/)은 '입'을 뜻한다.
- 니브흐어에서 '''ң'''амг(ngamg)'(/ŋamɡ/)은 '일곱'을 뜻한다.
- 북프리지아어의 무어링 방언에서 'kåchel'''ng'''(/ˈkɔxəlŋ/)은 '난로'를 뜻한다.
- 북방 민어에서'外'(/ŋui/)는 '밖'을 뜻한다.
- 북사미어의 동핀마르크 방언에서 'maŋis'(/mɒːŋiːs/)는 '뒤에'를 뜻한다. 서핀마르크 방언에서 'máŋga'(/mɑːŋˑka/)는 '많은'을 뜻하며, 연구개 파열음 앞을 제외하고 서핀마르크에서는 [ŋ]이 [ɲ]과 합쳐진다.
- 노르웨이어에서 'ga'''ng'''(/ɡɑŋ/)은 '복도'를 뜻한다. 노르웨이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오디아어에서 'ଏବଂ(ebang)'(/ebɔŋ/)은 '그리고'를 뜻한다.
- 오키나와어에서 'nkai'(/ŋkai/)는 '~에게'를 뜻하며, 연구개 자음 앞, 음절 첫머리의 자음군에서, 그리고 일부 방언에서는 단어 끝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 오스만 튀르크어에서 'ی'''ڭ'''ی(ye'''ŋ'''i)'는 '새로운'을 뜻한다.
- 펀자브어에서 'रंग/रङ्ग(rang)'(/rəŋ/), 'ر(rang)'(/rəŋ/)은 모두 '색깔'을 뜻한다.
- 페르시아어의 이란 페르시아어에서 'رنگ(ræŋg)'(/ræŋg/)은 '색깔'을 뜻하며, 연구개 파열음 앞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페르시아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피필어에서 'nema'''nh'''a'(/nemaŋa/)는 '나중에'를 뜻한다.
- 폴란드어에서 'ba'''n'''k'(/bäŋk/)는 '은행'을 뜻하며, /k, ɡ, x/ 앞에서 /n/의 동소이음이고, /kʲ, ɡʲ/ 앞에서 후경구개이다. 폴란드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포르투갈어에서 'ma'''n'''ga'(/ˈmɐ̃(ŋ)ɡɐ/)는 '망고'를 뜻하며, 느리고 신중한 발화에서 가끔 나타나며, /n/을 앞선 모음과 융합시켜 삭제하지 않는 경우 /ɡ/와 /k/ 앞에서 /n/의 동소이음으로 나타난다.
- 오크어의 프로방스어에서 'vi'''n'''(/viŋ/)은 '와인'을 뜻한다.
- 라파누이어에서 'ha'''ng'''a'(/haŋa/)는 '만'을 뜻하며, 라파누이어에서 가끔 로 표기된다.
- 루마니아어의 ''Țara Moților'' 트란실바니아 방언에서 'câi'''n'''e'(/['kɨŋi]/)는 '개'를 뜻하며, 표준 루마니아어의 에 해당한다. 루마니아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사모아어에서 '''g'''a'''g'''ana(/ŋaˈŋana/)는 '언어'를 뜻한다.
-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 'sta'''n'''ka(ста'''н'''ка)'(/stâːŋka/)는 '일시정지'를 뜻하며, /k, ɡ, x/ 앞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세리어에서 'co'''m'''cáac'(/koŋˈkaak/)은 '세리족'을 뜻한다.
- 쇼나어에서 '''n''''a'''n'''ga(/ŋaŋɡa/)는 '전통 의료인'을 뜻한다.
- 슬로베니아어에서 'ta'''n'''k'(/ˈt̪âːŋk/)는 '탱크'를 뜻한다.
- 남방 민어의 호키엔어에서 '黃'(/ŋ̍˨˦/), 티우츄 방언에서 '黃'(/ŋ̍55/)은 모두 '노란색'을 뜻한다.
- 스페인어 모든 방언에서 'domi'''n'''go'(/d̪o̞ˈmĩŋɡo̞/)는 '일요일'을 뜻하며, 연구개 자음 앞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스페인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갈리시아 스페인어, 안달루시아어, 카나리아어, 안데스어, 그리고 대부분의 카리브해 방언에서 ''alquitrá'''n'''''(/alkiˈtɾaŋ/)은 '타르'를 뜻하며, 뒤에 오는 것에 관계없이 단어 끝 위치에서 /n/의 동소이음이다.
- 스와힐리어에서 '''ng''''ombe(/ŋombɛ/)는 '소'를 뜻한다.
- 스웨덴어 표준어에서 'i'''ng'''enti'''ng'''(/ɪŋɛnˈtʰɪŋ/)은 '아무것도'를 뜻한다. 스웨덴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남부 베스터보텐 방언에서 'ngiv'(/ˈŋiːv/)는
6. 정치적 관점
참조
[1]
harvp
[2]
문서
"pre-velar"의 다른 명칭들
[3]
문서
"post-velar"의 다른 명칭들
[4]
웹사이트
Bulgarian Sound System
http://www.personal.[...]
2013-07-31
[5]
웹사이트
Karjalan grammari kaikella rahvahalla 1
https://blogs.uef.fi[...]
Karjalan Kielet ry
2024-10-19
[6]
harvp
[7]
서적
Hössjömålet: ordbok över en sydvästerbottnisk dialekt
Dialekt- och ortnamnsarkivet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